함수를 정의하는 기본적인방법은
function funcName () {
...
}
이렇게 작성한다
이것을 더간결하게 줄일수있으며
익명함수를 만들땐
function () {
...
}
이름을 생략할수있으며
화살표함수
()=>{
...
}
화살표 함수로 더욱더 줄일수도있습니다.
또한 화살표함수를 다룰때에는 구문을 단축 할 수도 있습니다.
1. 하나의 파라미터 일때에는 소괄호()가 생략됩니다
name => {
console.log(name)
}
이렇게 파라미터가 하나일경우에는 소괄호를 생략할수있습니다
파라미터가 0개 거나 2개이상일경우에는 반드시 소괄호를 () 작성해줍니다
() =>{
console.log("hello world")
}
(name,age) => {
console.log(name , age)
}
2. 반환문 외에 어떠한 로직이없을경우 중괄호{}와 return 키워드를 생략할수있습니다
name => console.log(name)
number => number * 5
이런식으로 작성이 가능합니다.
3. 객체를 반환하는경우에는 반드시 소괄호로 감싸야합니다
함수를 만들때에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제공하는 객체를 만드는 방식의 중괄호{}만 사용할경우 객체로인식하는것이아닌 함수 본문 래퍼로 인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객체를 소괄호()로 감싸야 이것이 객체라는것을 알려줄수있습니다
//잘못된방법
number => {age :number}
//올바른방법
number => ({age :number})
'WEB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CMAScript(ECMA Script)은 JavaScript의 표준화된 스펙 (0) | 2025.01.04 |
---|---|
typeof 연산자 자바스크립트에서 타입을 확인할때 (0) | 2025.01.02 |
자바스크립트 import, export, export default 사용방법 (0) | 2024.02.07 |
Array.from() 배열을 만드는 내장메소드 | 숫자10으로 1부터 10까지 값을 갖는 배열만들기 (0) | 2024.01.09 |
Fetch() 와 axios() 의 차이점. (0) | 2023.12.31 |